전체 글 (64) 썸네일형 리스트형 구글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의 캠페인 분석 오늘은 GA 캠페인 분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회사에서 이벤트와 같은 마케팅을 진행하는 경우가 있을 텐데요, 그 이벤트를 어딘가에 링크를 게시하게 될 것입니다. 그럼 해당 링크에 대한 반응을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사용자가 해당 링크를 얼마나 클릭하는지, 해당 링크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가 무슨 행동을 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GA는 외부에 게시하는 링크 분석을 위해 캠페인 링크 기능을 제공합니다. 해당 링크에 정보를 담아 해당 링크에 사용자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럼 캠페인 분석에 대해 좀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캠페인 분석 네이버, 구글, 페이스북 등에서 검색 광고를 클릭할 때 홈페이지가 이동하게 됩니다. 광고 링크 클릭으로..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의 리퍼러 분석 이번에는 리퍼러 분석에 대해서 이야기할까 합니다. GA에서는 사용자가 링크를 클릭한 곳을 확인하고자 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사용자가 어떤 곳에서 홈페이지에 접속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면 사용자의 성향과 무엇에 관심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링크를 클릭해 웹페이지를 이동할 때 리퍼러(Referrer)라는 이름으로 링크를 클릭한 웹페이지의 주소를 저장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는 리퍼러를 수집해 사용자가 어떤 곳에서 홈페이지를 접속했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 여기서 Referrer은 웹브라우저로 웹을 서핑할 때 하이퍼링크를 통해서 각각의 사이트로 방문 시 남는 흔적으로 현재 페이지로 방문하기 직전의 웹페이지 주소를 의미합니다. 즉, 리퍼러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유입은 ..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의 접속 검색어 이번에는 GA의 접속 검색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GA를 이용하는 많은 기업들이 사용자가 어떤 검색어를 통해 본인의 사이트로 유입되는지 궁금해하실 것 같습니다. 이럴 때 접속 검색어를 파악할 수 있는 보고서를 이용해 확인을 하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페이지에 접속할 때 입력한 검색어를 알고자 할 때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해당 보고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접속 검색어 분석 검색어를 확인할 수 있는 주요 보고서는 3가지가 존재하는데 획득 > 자연 키워드 / 획득 > 유료 키워드 / Search Console > 검색어 입니다. 자연 키워드 보고서는 유료 광고 검색어가 아닌 자발적인 검색어 분석을 의미합니다. 반면 유료 키워드 보고서는.. 고도몰 쇼핑몰 구글애널리틱스(GA) 간편결제(네이버페이) 연동 솔루션 소개 요즘 언택트 시대가 되면서 온라인 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있는 중인데요, 그로 인해 많은 기업들도 새로운 방법으로 소비자들과 대면하려고 노력 중입니다. 온라인 시장의 규모가 커질수록 기업들은 ‘온라인 내 소비자들의 행동 패턴’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합니다. 그들의 행동 패턴이 곧 마케팅의 방향성과 직결이 되기 때문인데요 기업들은 보다 온라인 내 소비자의 행동을 추적하는 ‘데이터 분석’에 힘을 쓰고 있습니다. 현재 대부분 기업에서는 무료 웹로그 분석 툴인 ‘구글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를 사용해 각자의 웹사이트를 분석합니다. 구글애널리틱스의 사용도가 높아지고 그에 따른 데이터 분석 활용도도 높아지고 있는 것입니다. 주로 e-commerce 사이트의 경우 전자상거래 데이터가 많이 활용되곤 하는.. 구글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의 세그먼트(Segment) 오늘은 GA의 세그먼트의 사용법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세그먼트(Segment)란 영어 뜻 자체로는 ‘분할’을 의미합니다. GA에서는 홈페이지를 접속하는 사용자를 특정 기준으로 구분할 때 세그먼트를 설정합니다. 보통 성별, 나이 등 포괄적으로도 구분할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 ‘20대 남성’과 같이 설정해서 데이터를 볼 수도 있습니다. 회사 내의 마케팅에서 이벤트 대상의 설정이 중요하듯이, GA의 보고서에서도 데이터를 구분해서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각의 데이터의 수치를 알고 있어야 복잡한 여러 상황에 유용하게 대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제 세그먼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그먼트 추가하기 세그먼트는 각 보고서의 상단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세그먼트를 추가하려면 + 세그먼.. 구글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의 동질 집단 분석 오늘은 동질 집단 분석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려고 합니다. 동질 집단 분석은 실무에서는 코호트(Cohort)분석코호트(Cohort) 분석이라고도 불리는데요 코호트란 ‘같은 그룹’을 의미합니다. 즉, 유사한 집단을 집중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말합니다. 코호트 분석은 보통 사용자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할 때 유용하게 쓰입니다. 일별, 주별, 월별로 나누어서 볼 수 있어 해당 사용자가 기간에 따라 어떻게 감소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동질 집단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한 후, 전략의 변화를 통해 고객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낼 수도 있습니다. 또한 특정 기간 사용자의 유지율, 페이지 뷰 유지율을 확인해 리마케팅(이메일 발송 등)의 시점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럼 본격.. 이전 1 ···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