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A

(33)
구글애널리틱스(GA) 사용법 : 획득보고서 구글애널리틱스의 획득보고서는 사용자가 어떤 경로로 나의 웹 사이트에 방문하게 되는지를 보여주는 보고서로, 각 채널의 방문수와 전환율 등 실적을 비교, 분석하여 효율적인 마케팅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고서입니다. 1. 구글애널리틱스의 획득보고서 1) 개요 구글애널리틱스 획득보고서의 개요는 유입 채널에 따른 사용자수, 이탈률, 전환율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비교하기 쉽게 그래프 형태의 보고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위 이미지에서 전자상거래 전환율을 내림차순으로 보았을 때, organic search 가 높은 것으로 보아 자연 검색으로 들어온 사용자의 전환율이 가장 좋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채널 구글애널리틱스 획득보고서의 채널에서는 개요에서 봤던 그래프 데이터를 수치화 된 데이터표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구글애널리틱스(GA) 사용법 : 목표 보고서 웹사이트를 운영 중이신 여러분! 다들 사이트를 운영하면서 이루고자 하는 목표가 있으실 텐데요. 웹페이지 운영 목표 어떻게 관리하고 계시나요? 이번 시간에는 우리 웹사이트의 운영 목표가 잘 달성되고 있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글애널리틱스에서 목표를 설정해 보고 목표 보고서에 대한 내용까지 정리해보았습니다. 1. 구글애널리틱스 목표 설정하기 01. 구글애널리틱스에서 좌측 하단에 있는 관리 버튼을 누른 후 관리자탭의 보기 메뉴에서 목표를 클릭합니다. 02. +새 목표 버튼을 클릭합니다. * 목표는 보기당 최대 20개까지 생성할 수 있습니다. * 목표 설정을 완료하여 생성한 후에는 삭제할 수 없고 사용 중단만 가능합니다. 03. 목표설정에서 템플릿 또는 맞춤설정 중 원하는 목표설정을 선택합니다. ( 템플릿은..
구글애널리틱스(GA) 사용법 : 전자상거래보고서 안녕하세요:) 구글애널리틱스의 보고서 중 매출을 더욱 자세히 분석해볼 수 있는 보고서가 있다는 것 알고 계신가요?! 바로 구글애널리틱스의 전자상거래 보고서인데요!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운영하시는 분들이라면 너무나 유용하게 쓰일 구글애널리틱스의 전자상거래 보고서에 대해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의 전자상거래 보고서는 웹사이트에서 일어나는 거래량과 수익 데이터를 수집하여 보여주는 보고서입니다. 전자상거래 보고서를 사용하면 구매 정보 뿐만 아니라 평균 주문값, 전자상거래 전환율, 구매까지의 소요시간 등 구매 활동 분석 정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자상거래 보고서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전 작업이 필요한데, 구글애널리틱스의 관리자 메뉴에서 전자상거래를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것과 수집할 사이트에 추적코드를..
구글애널리틱스(GA) 사용법 : 사이트 콘텐츠 보고서(The Site Content reports) 안녕하세요:) 지난번 구글애널리틱스의 사용자흐름보고서를 통해 사용자의 페이지 사용 루트를 확인하셨다면, 이번 시간에는 사이트 콘텐츠 보고서(The Site Content reports)를 통해 그 페이지들이 어떻게 얼마나 사용되고 있는지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구글애널리틱스의 사이트 콘텐츠 보고서는 행동 보고서 내에 있는 보고서로 모든 페이지 보고서 / 콘텐츠 드릴다운 보고서 / 방문 페이지 보고서 / 종료 페이지 보고서로 나뉘어 있습니다. 먼저 사이트 콘텐츠 보고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간단하게 정리해보고 넘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이트 콘텐츠 보고서 용어 * 페이지뷰수 : 해당 페이지의 조회수 ex. 사용자 A가 해당 페이지를 10번 조회했을 경우 페이지뷰 수는 10 *..
구글애널리틱스(GA) 사용법 : 사용자 흐름 보고서(Users Flow report) Q. 구글애널리틱스로 사용자의 페이지 이용 정보는 분석할 수 없나요? ... A. 구글애널리틱스의 사용자 흐름 보고서를 활용하면 쉽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부터 사용자 흐름 보고서의 사용법부터 활용법까지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애널리틱스 사용자 흐름 보고서(Users Flow report)란? 사용자 흐름 보고서는 사용자가 사이트에서 사용하는 페이지의 이동경로를 보여주는 보고서로 사용자의 페이지 유입부터 이탈 및 종료 지점까지의 모든 페이지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사용자 흐름 보고서를 통해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사이트가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파악하고 대응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서비스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사용자 흐름 보고서(Users F..
구글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 획득보고서 안녕하세요. 오늘은 유니버설 구글애널리틱스(GA)의 획득보고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혹시나 구글애널리틱스(GA)의 지표나 용어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은 아래의 포스팅을 한번 봐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구글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의 주요 지표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구글애널리틱스(GA)의 주요 지표의 용어와 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애널리틱스 주요 지표 트래픽 유형 트래픽 유형에는 User / Session / Hit가 존재 finedata.tistory.com 구글애널리틱스(GA) 획득보고서 구글애널리틱스(GA)의 획득보고서에서는 ‘내 사이트에 사용자가 어떻게 도착하는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고객이 웹사이트와 어떻게 ..
구글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의 대시보드(Dash Board) 안녕하세요. 오늘은 오랜만에 유니버설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에 대한 포스팅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구글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 보고서 내에 있는 맞춤 설정 기능 중 대시보드(Dash Board)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 맞춤 설정 구글애널리틱스(GA)의 맞춤 설정에는 대시보드 / 맞춤 보고서 / 저장된 보고서 / 맞춤 알림의 기능이 존재합니다. 이 네가지의 기능은 GA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들 입니다. 구글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 대시보드(Dash Board) 구글애널리틱스(GA)의 대시보드는 필요한 데이터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도구입니다. 대시보드(Dash Board)..
구글애널리틱스4(Google Analytics4)에서 데이터레이어(Datalayer)를 맞춤측정기준(Custom Dimension)으로 설정하기 안녕하세요. 오늘 포스팅은 구글애널리틱스4(Google Analytics4)의 데이터레이어(Datalayer)를 맞춤측정기준(Custom Dimension)을 통해 보고서(report)에서 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애널리틱스4(Google Analytics4)가 무엇인지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확인해주세요. Google Analytics4(GA4)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 포스팅은 구글애널리틱스에서 새롭게 선보인 Google Analytics4(GA4)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Google Analytics 4(GA4)란? Google Analytics 4(GA4)는 백엔드에서 Firebase를 사용.. finedata.tistory.com Dimension..
Google Analytics4(GA4)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 포스팅은 구글애널리틱스에서 새롭게 선보인 Google Analytics4(GA4)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Google Analytics 4(GA4)란? Google Analytics 4(GA4)는 백엔드에서 Firebase를 사용하는 새로운 버전의 Google Analytics입니다. GA4는 이전의 유니버설 구글애널리틱스와는 다르게 사용자의 행동을 더 잘 표현하며 데이터 수집 및 집계 시간이 적게 듭니다. 구글애널리틱스 (GA) 의 프로그램은 april 에서 시작해 ga.js 이후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유니버설 애널리틱스를 거쳐 GA4가 되었습니다 . Google Analytics 4(GA4)의 등장 배경 이전의 유니버설 구글애널리틱스(GA)에서 세션(session)..
구글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의 관리자 IP주소 트래픽 필터 제외하기 이번 게시글에서는 구글 애널리틱스의 ‘필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이 필터를 이용해 관리자 IP주소 트래픽 필터를 제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필터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필터 활용 시 구글 애널리틱스가 수집/표시하는 데이터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필터란 보고서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자신의 웹사이트나 앱에 유입되는 데이터를 보고서상에서 특정 데이터를 포함하거나 제외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보고서에서 데이터가 표현되는 방식을 변경하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보기에 따라 유연한 조회가 가능합니다. 이전에 게시물에서 필터와 비슷한 기능을 했던 것이 ‘세그먼트(segment)’인데요 이 둘은 비슷해 보이지만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세그먼트가 필터와 다른 점은 세그먼트는 데이터를 변경하는 ..